프로그래밍/프로그래밍 기타
[git] Git 실전 가이드 - 1장. Git 시작하기
freeelifee
2025. 6. 20. 01:46
728x90
📘 1장. Git 시작하기
1.1 버전 관리란 무엇인가?
💡 개념
- 버전 관리란, 파일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.
- 특히 소스 코드나 문서 작업에서 협업, 변경 이력 확인, 되돌리기를 위해 필수입니다.
🧱 예시 상황
- 프로젝트 폴더에 project_최종, project_진짜최종, project_진짜진짜최종 이런 이름 붙이신 적 있나요?
- Git은 이런 혼란 없이 모든 변경 이력을 자동으로 기록합니다.
1.2 Git이란?
정의
- Git은 **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(DVCS)**입니다.
- 2005년 리눅스 창시자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함.
- Git은 속도, 분산성, 안전성, 협업 기능을 갖춘 도구입니다.
1.3 Git과 GitHub의 차이
구분 설명
Git |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(로컬 설치) |
GitHub | Git 저장소를 인터넷상에서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해주는 호스팅 서비스 |
기타 대안 | GitLab, Bitbucket 등 |
Git은 도구이고, GitHub는 Git을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
1.4 Git 설치 및 초기 설정
✅ 설치
- https://git-scm.com에서 설치 가능
✅ 사용자 정보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홍길동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email@example.com"
✅ 설정 확인
git config --list
모든 커밋에는 작성자의 이름과 이메일이 포함되므로 처음에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.
1.5 첫 번째 Git 저장소 만들기
📁 실습
- 폴더 하나 만들기
mkdir my-git-project
cd my-git-project
- Git 저장소 초기화
git init
- 텍스트 파일 하나 만들기
echo "Hello Git" > hello.txt
- 파일 상태 확인
git status
- 변경 사항 저장
git add hello.txt
git commit -m "처음 커밋: hello.txt 추가"
- 커밋 기록 확인
git log --oneline
1.6 Git 기본 개념 구조
📦 주요 용어
용어 설명
Working Directory | 내가 작업 중인 실제 파일들 |
Staging Area | 커밋하기 위해 준비된 파일 목록 |
Repository (.git) | 커밋된 이력을 저장하는 내부 데이터베이스 |
[작업공간] → git add → [스테이지] → git commit → [저장소]
1.7 1장 요약
- Git은 파일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도구이며, GitHub는 공유 및 협업 플랫폼
- git init, git add, git commit의 기본 흐름 이해
- 버전 관리의 필요성과 Git의 역할 파악
🧪 연습문제
- git config 명령어를 이용해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하는 명령어는?
- git init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?
- Git의 세 가지 주요 영역은 무엇인가요?
728x90